건조한 계절이라 그런지 겨울이되면 여기저기 자꾸만 가려워요
문제는 없는걸까요?
겨울에 피부가 특히 더 가렵다 느껴지는건 건조한 공기탓에
피부가 함께 건조해지기때문이에요
피부의 신진대사가 잘 돌아가지않고 이로인해 피부에 지질분비량이 줄어드는 것도
원인 중 하나라고해요
보통은 너무 뜨거운물로 오래 목욕하지않고
보습을 제때 해준다면 금방 좋아지지만
전신질환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일 수 있기때문에
주의와 집중이 필요하다고하네요
특별한 질환이 없다면 가려움은
피부에 외부물질로 인한 마찰이 생기고
여기에서 신경돌기가 반응하는 과정으로 발생하는거에요
옷을 포함한 무언가가 피부에 가볍게 쓸리거나 닿는등
마찰이 생기면 아주 작은 전기스파크가 생기게되는데
이때 신경이 자극을 받으며 뇌에 전달을 하게되요
뇌는 이런 자극을 가려움이라고 해석한다고해요
피부가 건조할수록 이 전기스파크가 쉽게 생길 수 있어요
흔히 나이를 먹을수록 가려움을 잘 느낀다고하는데요
젊은사람들에 비해 혈액순환이 잘 안되기때문이래요
피부세포에는 수분과 지질의 재료가 되는 영양분들이
충분히 공급되어야하는데
노화로 인한 혈액순환 문제가 이를 원활하지못하게 방해하기때문이죠
어딘가 가렵다 느낄 때 긁기만한다면
그나마 남아있는 보호막까지 없어질 수 있고
사이토카인, 히스타민도 더 많이 분비되면서
전보다 더 쉽게 가려움증을 느끼고 심해질 수 있다고하니
조심해야할 것 같아요
가려움증이 증상이 되는 질환은 크기 피부, 전신 두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어요
피부질환은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건선, 습진이 있는데
가려움과 함께 붉고 동그란 점이 생기거나 부어오른다면
접촉성 피부염을 의심해볼 수 있어요
흔히 비누나 세제로 인해 생기고
증상이 심하거나 참기 어렵다면 원인 물질을 찾아 제거해주고
항히스타민 처방을 받을 수 있어요
아토피피부염이나 건선은 피부건조에 의해 악화될 수 있어요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않았지만
면역 체계의 이상이 주된 원인일거라 추정하고 있어요
습진은 보통 물을 많이 만지거나 젖은상태에서 오래 있을 때
발생하는 질환이라 생각하기쉬운데
건성습진은 피부가 건조해서 일어나요
각질과 함께 증상이 나타나니 구별하기도 쉬워요
건성습진의 경우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가 치료에 쓰여요
전신질환은 빈혈, 당뇨,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있어요
우리 몸에 철이 부족해지면 가려움증이 생길 수 있다고해요
철이 가려움을 느끼게하는 신경의 구성 성분이기때문인데
부족해지면 작은 자극에도 신경이 예민하게 반응하면서
가려움을 느끼게되는거에요
가려움증, 어지러움증, 피부가 창백해지는 증상이 나타나면 빈혈을 의심해볼 수 있어요
당뇨가 있으면 신경이 손상되면서
제대로 된 기능을 하지못하고 과민해지는데
이때 가려움을 느낄 수 있어요
갑상선기능항진증은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갑상선호르몬이 과하게 분비되는 질환으로
혈류량이 늘어나면서 피부표면의 온도가 높아지고
작은 자극에도 쉽게 가려움을 느끼게된다고해요
피곤, 왕성한 식욕에도 체중은 증가하지않는 상태,
가슴이 두근거리고 잠을 잘 못잔다면 의심해볼 수 있어요
전신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려움증은
대부분 몸 어느 한곳에 집중된 증상이 아니라
몸 전신에 걸쳐 가렵다 느끼게된다고하니
겨울에 가려움증이 갑자기 생겼다 하더라도
너무 겁먹거나 걱정하지는 마세요!
특정 질환이 아님에도 가려움증이 있다면
피부 건조가 원인이라 생각하시면되요
추우니까 난방을 올려 따뜻하게 지내고싶은 마음은 이해하지만
겨울철 실내온도는 18~20도정도가 적당하다고해요
그 이상 온도를 높이게되면
난방으로 인해 실내습도가 엄청 낮아질 수 있기때문이에요
생활하는 공간에 빨래를 널어두거나
가습기를 활용해 습도를 60~70%정도로 맞춰주는 것이 좋아요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를 제외한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해주시는 것도 중요하죠!
목욕을 너무 자주하면 건조함이 더 심해질 수 있으니
시간은 5분이내 일주일에 1~2회정도가 적당해요
때를 밀거나 스크럽제를 무리하게 사용하는 것도 금물이에요
대부분 목욕을 마친 후 물기를 다 말리고나서야
보습제를 바르는데요
수건으로 몸을 닦아내고 물기가 약간 남아있을 때
보습제를 발라줘야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하니 참고하세요!
'자잘한 생활정보들 > 날씨 관련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가스 요금 너무 올랐다ㅠㅠ!/난방비 절약 방법/따뜻하게 살고싶다! (1) | 2022.12.12 |
---|---|
2022년, 7월 날씨 어떨까, 너무 더워요, 너무 습해요, 살수가없어요ㅠㅠ (1) | 2022.06.28 |
여름보다 비가 더 많이와요, 가을장마 대체 언제 끝날까요? (0) | 2021.10.08 |
실내온도 낮추는 방법, 에어컨이 부담스러우면 이렇게 해보세요 (0) | 2021.07.23 |
장마가고 폭염!? 열돔현상으로 폭염이 예상되니 주의하세요! (0) | 2021.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