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잘한 생활정보들/그외

성년의 날, 유래와 선물의 의미들, 어른이 된걸 축하해!

니들NeeDle 2021. 5. 18. 22:45
728x90
반응형

 

 

 

 

 

사람은 태어나면 아무것도 하지못하는 유아시절을 경험해요

동물들은 태어나자마자 수영을 하거나 

일어서서 걷는등 바로 하나의 개체로 활동할 수 있지만

사람은 그렇지않은데요 

그 이유는 출산의 위험성때문이라고해요 

아이가 한사람 몫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엄마가 품어줄 수 없기때문이죠

그래서 미약한 상태로 태어나게되고

부모는 아이가 제대로 한 사람 몫을 할 수 있도록

정성으로 케어해줘야하는거죠!

 

 

 

그렇게 우리는 행복한 유년시절을 보내게되는거에요 

한살 두살 나이를 먹으며 일종의 책임감 혹은 나잇값을 하게되는데 

그 정점이 바로 성년의 날이지 않을까해요 

성년의 날의 시초는

고려 광종(965년)때 세자 유에게 원복을 입혔다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알려져있어요 

 

남자의 경우 관례를

여자의 경우 계례를 치뤘고

고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중류 이상 가정에서 보편화된 제도였지만

현대에 들어오며 사라진 문화에요 

 

 

 

성년의 나이는 나라마다 기준이 달라요

독일과 프랑스는 21세, 네덜란드는 23세로 정하고있고

일본의 경우 일반국민은 만 20세, 천황, 황태자, 황태손은 18세로 정했어요

대부분의 아시아권 나라에서는

만 20세를 성년으로 인정하고 있죠 

 

선거권과 함께 각종 자격증 취득하고

흡연, 음주금지등의 제한이 해제되기때문에

매년 12월 31일이 되면 

성인이 되길 기다리는 19세 청소년들을

흔히 볼 수 있죠 ㅎㅎ

사법상으로 보면 완전한 행위능력자가 되는거고

친권자의 동의 없이 결혼을 할 수 있으며

양자도 될 수 있어요!

이외에 어른으로서 갖춰야하는

수많은 책임과 의무에 노출되는거죠 

 

어른이 된다는건 설레이면서도 두렵고 
기대되면서도 힘든 여정인 것 같아요

 

 

 

우리나라의 경우 1973년과 1974년 4월 20일에

성년의 날 기념행사를 했었는데요 

1975년부터 5월에 맞춰 날짜를 5월 6일로 변경했어요

쭉 유지되다가 1984년에

5월 셋째 주 월요일로 정해지게된거죠 

 

우리나라도 다른나라와 마찬가지로

만 20세를 성년으로 인정했지만

2013년 7월에 민법이 개정되며 

만 19세를 성년으로 인정하게되었어요

 

2021년 올해 성년의 날에는

2002년생들이 맞이하게됐어요!

모두 성인이 된 것을 축하드립니다^^

 

 

 

성년의 날이 되면 대게

장미와 향수, 키스를 선물해야한다고 알려져있는데요

이 세가지 선물의 의미를 알고 계시나요?

 

 

 

장미는 열정, 사랑이라는 꽃말을 가지고있어요

이제 막 어른의 꽃을 피운 젊은이에게 

무한한 사랑과 열정이 계속되길 기도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죠 

앞으로 살아갈 날이 많고 

꿈을 펼치기위해 수많은 역경들을 해쳐나가야하겠지만

순수한 사랑과 열정을 품에 간직했으면 하는

어른들의 소망이 아니었을까해요

 

향수는 다른 사람에게 

좋은 향기를 풍기는 사람이 되라는 의미이고

키스책임감을 가지고 사랑을 하라는 뜻

가지고 있다고하네요 

 

성인이 되면 자유롭게 무엇이든 할 수 있을거라 생각하지만

살다보면 그렇지않다는걸

금방 깨닫게되죠 ㅎㅎ

안전하게 사랑하며 책임감있게 애정을 나누는

어른이 되시길 바랄께요

 

 

성인이 되었다는건

안전장치인 교복을 벗고

모든 책임에서 자유롭지않다는거에요 

할 수 있는 것이 많아진만큼

충분히 고민하고 생각하며

진중하게 행동하신다면

더 행복한 미래가 찾아올거에요

모두 성인이 된 것을 축하드리며

늘 행복한 일만 가득하길 기도할께요!

 

반응형